페이퍼 서버 직접 설치하는 방법!
오늘은 본격적으로 서버 호스팅 업체를 이용하지않고 페이퍼서버 구성하는방법을 알아볼거에요.
1편 링크 [총정리 연재 글의 목차보기] https://blog.kggstudio.com/2025-minecraft-paper-server-part1/
2편 링크 [자동화 호스팅 업체 대신직접 서버를 구성해야하는 이유] https://blog.kggstudio.com/2025-minecraft-paper-server-part2/
먼저. 다운받기
-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해줍니다
-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 Downloads 버튼을 클릭합니다.
플러그인을 개발하는게 아니라면 JRE (실행용) 를 다운받으면되는데요.
다운로드 페이지로 넘어가면 Paper를 선택해줍니다.
아래화면에서 버전을 선택해주면 되는데요.
현재 공식 마인크래프트는 1.21.5가 최신버전이고 1.21.6 출시를 앞두고있지만, 페이퍼 서버는 1.21.4가 최신버전이며, 1.21.5는 아직 실험버전 단계입니다.
페이퍼 서버는 jar파일로 배포되므로 Windows, Macos, Linux 모두 같은 파일을 사용하여 실행할수 있습니다.
(실험버전: 실험버전은 개발후 출시전 안정성 검사를 하는단계로 버그가 존재할수 있습니다. 제가 1.21.4 버전을 기준으로 서버 구성 가이드를 작성한것도 페이퍼서버는 아직 1.21.4버전이 최신버전 이기때문입니다 | 2025년 6월 2일 기준 여전함.)
설치하기
페이퍼 서버 설치
paper-1.21.4-231.jar 파일을 실행하면 해당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서버폴더로 만들어버리고, 해당 폴더에 서버구성에 필요한 파일들을 자동으로 설치합니다.
jar파일을 실행하기위해선 Java 21 버전이 필요합니다. 설치가 되어있지않다면 설치해주시고 아니면 이 부분은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자바가 설치되어있는데 버전이 기억나지 않는다면
Java 21 LTS 설치
자바 21 다운받는 사이트: https://adoptium.net/temurin/releases/?os=any&arch=any&version=21
사이트로 접속하시면 아래화면이 뜰텐데요. 이건 개발용 JDK입니다. (다운받지 않기!)
플러그인을 개발하는게 아니라면 JRE (실행용) 를 다운받으면되는데요.
이 스크린샷처럼 JDK -> JRE로 변경해준후 다운받아 설치해줍니다.
WIindows 사용자는 .MSI 파일을 받아 설치하실때, JAVA_HOME 변수설정에 꼭 체크 하시고 설치해야합니다. 안하면 귀찮게 수동으로 설정해줘야해요^^
Linus 사용자는 먼저 압축을푸시고
# Bash 셸 사용자
~/.bashrc
# Zsh 셸 사용자
~/.zshrc
본인 서버컴퓨터에 맞는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로 열고 아래처럼 환경변수를 직접 설정해줘야합니다.
# Temurin Java 설정
export JAVA_HOME=/opt/temurin-21
export PATH=$PATH:$JAVA_HOME/bin
저장 후 아래처럼 명령어실행을 해주셔야 저장한 환경변수가 셸에 바로 적용됩니다.
source ~/.bashrc # Bash 셸 사용자
# 또는
source ~/.zshrc # Zsh 셸 사용자
윈도우나 리눅스는 이렇게 환경변수가 설정되면, 어떤 폴더에서 jar파일을 실행해도 실행이 가능해져요. (위에서도 말했듯 jar파일 실행하는순간 서버폴더가 세팅됩니다)
*팁* 본인에게 선택권이 있다면 리눅스 서버를 추천합니다. 리눅스 서버가 가벼워 전기도 적게사용하고 안정성도 윈도우서버보다 뛰어납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스펙을 무시하고 무조건 리눅스가 좋다 이정도는 아니여서 리눅스가 불편하신분들은 윈도우사용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Paper 서버 세팅
서버를 세팅하려면 jar파일을 한번 실행하셔야합니다. jar파일을 한번 실행하고 (이것을 서버 실행이라고 부를거에요) 다시 종료하면 서버 세팅할수있는 파일들이 생성됩니다.
필수 세팅 (빨리 게임하고싶으면 이것만 해도 OK)
server.properties
이 파일이 서버설정 파일 입니다. 먼저 필수적으로 설정해야하는것만 다루고 선택적인건 뒤에서 이야기할게요.
난이도 설정입니다. peaceful | easy | normal | hard
peaceful(평화로움): 게임을 자주하지 않으시는분들에게 추천. 나를 공격하는 몬스터가 등장하지않아요. 동물의 숲 하는 느낌으로 하고싶으면 peaceful로!
easy | normal | hard는 어려워질수록 몬스터가 더 똑똑해지고 더 강해집니다. 마인크래프트를 꽤 오래한사람들도 hard에서는 자주 죽으니까요 처음이시면 easy | normal 하다가 나중에 hard로 바꾸시면됩니다. 난이도는 관리자가 옵션에서 언제든 바꿀수있으니 편하게 정하세요.
다른모드는 부가적인 기능이구요 이게임의 기본은 서바이벌 모드!
월드 이름을 정해야하는데요. 마인크래프트에서는 공식적으로 띄어쓰기를 지원하지만, 지원하지않는 플러그인도 많으니 띄어쓰기없이 만들어주세요.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메모리를 초과하면 렉이 걸리지않고 서버가 종료되어버립니다. 만약 호스팅업체에서 저렴한 1~3GB를 대여하셨으면 인원을 5명 이내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ip주소는 본인의 ip를 적어주시고 “예) 127.0.0.1”
포트번호는 서버가 하나라면 바꾸지않는것이 다른사람에게 알려줄때 편해요. 기본적으로 적혀있는것 바꾸지말라고 하면되니까요.
호스팅업체는 반드시 바꿔야하는데 워낙 중요한거라 설정페이지에서 엄청잘보이게 적혀있을겁니다.
몬스터나 NPC가 움직이고 내가만든 공장 농장들이 작동하는 범위입니다. 숫자는 청크단위라 10이면 모든방향으로 160블럭 (1청크는 16×16블럭) 범위안에서 작동한다는 의미입니다. 보통은 view-distance보다 2-4정도 작은값을 추천하지만, view-distance가 아무리 높아도 블럭들은 멀리보이지만 몬스터는 128 블럭(8청크)을 넘어서면 보이지도 상호작용하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공장이나 농장도 Paper서버에서는 이 값을 크게줘도 기본적으로는 멀리있는 공장이 작동하지않아요. 따라서 8 값 이하를 추천드립니다.
게임옵션에 렌더거리와 같은 옵션으로 서버에 존재하는 겁니다. 실제적용되는값은 서버의 설정값과, 유저의 각 설정값중 작은값으로 적용됩니다.
*주의* max-players | simulation-distance | view-distance 는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옵션들이고 값들이 커지면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예를들어 아래 두가지 설정이 있다면, player1과 2가 같은장소에서 게임을한다면,
B설정이 A보다 최소 3배에서 전혀 다른곳에서 게임을한다면 최대 7배이상 서버리소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서버 성능에 맞게 설정을 하시면
A: player 1명 simulation-distnace 2 view-dstance 2
vs
B: player 2명 simulation-distance 4 view-distance 4
여기까지 설정하시면 게임을 충분히 즐길수 있는상태가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이제 다시 한번 jar파일을 실행하시고, 게임을 실행후 본인 ip와 port를 넣으면 접속해서 플레이할수 있습니다.
서버 버전이 1.21.4니까 클라이언트도 꼭 같은버전으로 맞춰서 실행해주세요.
사실 친구들과 잠깐 즐길용도의 서버라면 이정도 설정이면 충분하고 필요에따라 기능을 하나씩 추가해 나가면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서버를 세대로 세팅하기위해 연구하고있으니 더욱 세심한 설정이 필요하겠죠?
3-2편에서는 다른플러그인을 설치하기전에 마인크래프트 서버자체에서 더 설정할수있는게 뭐가있을지 알아볼거에요. 다음에 만나요~
1 thought on “[마인크래프트 Paper 서버 구성 총정리] 3-1편: Paper 서버 설치하기 – 1.21.4 버전 (2025년 6월 최신)”